| | | |
공지사항 주요고객사 및 관계기관 IT 최신정보
이름 관리자 이메일 uqtech@uqtech.kr
작성일 18.05.31 조회수 423
파일첨부
제목
1조7천 재난망 본사업 막오른다...행안부, 6월 중 RFP 공지
▲ KT 공공안전통신망 기술검증센터에서 연구원들이 재난망 통신을 테스트하고 있는 모습. ⓒ KT
 
2018~2020년간 1~3단계 일괄발주  KT, SKT 등 프로젝트 수주 준비 마무리

장기간 표류하던 재난안전통신망(재난망) 본사업이 하반기부터 본궤도에 오른다. 행정안전부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 동안 1~3단계의 사업을 일괄 발주하기로 하고, 내달 제안요청서(RFP)를 공지한다.
당초 예상보다 지연됐지만 예비 공고와 본 공고를 조속히 내고, 7월 이후부터 사업에 착수한다.

하반기 5세대(5G) 주파수 경매에 이어 1조원대 규모의 재난망 수주가 통신업계 핵심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핵심 지역 발주를 따내기 위한 업체간 합종연횡도 관전 포인트다.

심진홍 행안부 재난망사업단장은 30일 “RFP안은 이미 마련됐다”며 “기획재정부와 조달청 등 관련 업체의 협의를 거쳐 다음달 공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 역시 준비를 거의 마치고 공고 시점에 맞춰 제안서 제출하는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행안부에 따르면 재난망 본사업은 2018년부터 2025년까지 8년간 진행된다. 이중 2018년부터 2020년 3년은 망 구축, 2021년부터 2025년까지는 실제 망을 운영하는 기간이다. 행안부는 기존 무선통신망의 지역별 수요 및 시급성, 노후화 등을 고려해 중부권 -> 남부권 -> 수도권 순으로 단계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1단계는 세종, 대전, 충북, 충남, 강원(5개 시도) ▲내년 2단계는 부산, 대구, 울산, 경북, 전북, 전남, 제주(9개 시도) ▲ 3단계는 서울, 인천, 경기(3개시)가 대상이다.

총 사업비는 1조7282억(구축비 4454억원, 단말기 4006억원, 운영비 7976억원, 예비비 846억)으로 이 중 단말기를 제외한 구축비와 운영비 1조2430억원 사업자를 올해 모두 선정한다. 운영센터 2개소와 기지국 1만5447개, 단말기는 24만대를 보급한다.

업계의 관심이 쏠리는 부분은 발주 방식이다. 각 단계를 여러개 사업지역으로 나눠 동시 발주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공정 경쟁을 유도하는 동시에 참여기회를 확대한다는 취지에서다.

특히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단계별로 사업을 발주하지 않고 한 사업자가 선정되면 구축 이후 운영까지 도맡게 한다는 것이다. 연도별로 사업자를 선정하면 교체 시 품질 저하나 운영상 문제가 생길 위험도 있다.

심진홍 단장은 “‘장기계속 사업’으로 발주하면 단계 시 업체 선정에 필요한 기간도 줄일 수 있다‘며 ”사업지역은 2개 혹은 3개를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사업자들의 셈법도 빨라지고 있다. 핵심 지역을 따내기 위한 컨소시엄 구성이 이뤄질 전망이다. 운영센터 2곳 위치로는 정부청사가 있는 세종과 전라도 혹은 경상도가 예상되고 있다. 행안부는 관련 지자체와 협의중이다.

다만 사업지역이 2곳일 경우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고, 3곳일 경우 일각에서는 참여기업의 RFP 부담 가중과 통신3사 담합을 우려하고 있다.

2015년 재난망 시범사업의 경우 운영센터 구축을 포함한 1사업(평창) 337억9800만원, 2사업(강릉-정선) 82억1600만원으로 진행됐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를 필두로 장비 및 솔루션 업체들이 맞손을 잡고 수주 경쟁을 펼쳤으며, 정보전략계획(ISP)을 수립한 LG CNS는 KT컨소시엄과 LG유플러스 하도급 업체로 참여한 바 있다. 그 결과 운영센터 구축을 포함한 1사업(평창) 수주에 KT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재난망은 1조원대로 초대형 프로젝트에 속한다”면서도 “수익성보다는 국민의 안전과 편익을 위한 망 구축으로 산업 생태계를 공고히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는 공익적 측면으로써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전글 5G 주파수 경매신청 4일 마감…이통3사 막판 전략 다듬기
다음글 [5G 표준 선구자] ‘48개월→27개월’…숨가빴던 표준화 여정